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신학위원회는 24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혐오, 싫어하고 미워하다’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발표자들은 혐오가 만연한 시대에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로 ‘혐오를 양산한 불평등한 사회구조의 개혁’과 ‘존중을 기반으로 한 공존(共存)의 가치 설파’를 꼽았습니다.
'혐오, 싫어하고 미워하다'를 주제로 24일 열린 NCCK신학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도를 하고 있습니다. 김보연 인턴기자
NCCK신학토론회 참석자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발표를 듣고 있습니다. 김보연 인턴기자
한신대 신광철 교수가 발표하고 있습니다. 신 교수는 “혐오 현상의 이면에는 현재의 삶에서 느끼는 공허함과 포기의식이 깔려있고 ‘너는 나와 다르며 다른 것은 곧 틀린 것’이라는 극단적인 경계 짓기도 자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보연 인턴기자
한동대 김준형 교수가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혐오문화의 등장 원인은 갈수록 심해지는 불평등과 국가의 공공성 상실에 있다”며 “거대자본은 중소자본에게, 중소자본은 노동자에게, 노동자는 다시 비정규직에게 손실을 전가하는 약육강식의 구조가 사회전반으로 넓고 깊게 퍼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보연 인턴기자
한동대 김준형 교수는 “기득권층의 속칭 ‘갑질’이 심해지면서 피해를 입은 이들이 자신보다 더 약한 자를 조롱하고 비하하는 양상을 보이고, 이로 인해 오늘날 한국사회 혐오문화가 더욱 견고해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김보연 인턴기자
신학토론회 사회를 맡은 조재국 교수가 발언을 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끝은 한일장신대 김은주 교수입니다. 김 교수는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을 지키는 것은 곧 이웃의 존엄성과 권리를 존중하는 것에서 출발한다”며 “교회의 역할은 이웃과 세상을 능동적으로 섬기는 ‘행동하는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김보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