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24일 북한대학원대학교를 통해 배포한 입장 자료를 통해 "2007년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과정과 관련 문재인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주요 발언권을 행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전 대표가 결정에 이르기까지 본인이 취한 조치에 대한 자신의 기억과 기록을 재차 확인해 보고, 그 결과에 기초해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는 것이 정쟁의 종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당시 회의에서 백종천 안보실장은 회의 진행을 맡았고 의견조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 전 대표가 주요 발언권을 행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전 대표는 그해 8월부터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장을 맡아 정상회담 준비는 물론 정상회담 후에도 안보 관련 일련의 후속 조치에 대한 회의를 실질적으로 관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맥락에서 저자(송 전 장관)가 보낸 후속 서한을 읽은 노 전 대통령이 다음날 문 전 대표에게 외교부 장관과 다시 조정해보라고 지시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전 장관은 "현재 정쟁의 발단은 2006년 11월20일 저녁 싱가포르 대통령 숙소에서 남북채널로 확인한 북측 반응을 백 전 안보실장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이어 대통령이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문 전 대표가 밝힌 대로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당시 관계자들로 하여금 11월20일 오후부터 밤까지 서울과 싱가포르에서 있었던 논의 경과와 발언들에 대한 기억과 기록을 다시 검토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은 "사안의 주무장관이었던 저자가 찬성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었고, 대통령이 저자의 11월16일자 호소 서한을 읽고 다시 논의해 보라고 지시한 것은,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