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장 주목받는 정치인은 단연 손학규다. 그는 정계복귀 선언과 동시에 자신이 당 대표였던 더불어민주당은 탈당했다. 이 같은 파격 행보를 최측근에게조차 알리지 않았다.
손 전 대표의 최측근인 이찬열 의원(무소속·손 전 대표 탈당 이후 민주당 탈당)은 “전혀 사전에 교감이 없었다. 당일(21일)날 (오후) 3시에 알았다”고 말했다. 손 전 대표가 탈당을 발표하기 직전에서야 측근들에게 자신의 결심을 알렸다는 얘기다.
이 의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손 전 대표 전격 결정에 대해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손학규 대표께서도 나라의 틀을 바꾸고 싶다고 얘기하시지 않았습니까. 정권교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손 전 대표가 구상하는 제3지대론에 대해 “지난 대선 때 야권에서의 모든 힘을 합쳤는데도 불구하고 지려야 질 수 없는 선거에서 졌다고 평가하지 않았냐”고 반문한 뒤 “지금은 4·13 총선을 기준으로 또 야권이 분열돼 있는 상태이고 분열돼 있는 야권을 한데 아우르고 또 중도, 보수 쪽에 있는 분들을 모셔올 수 있는 분은 저는 손학규 대표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문열 열었다.
이어 “(제3지대는) 야권 전체는 물론이고 또 중도, 보수 쪽에 있는 분까지 다 세력을 모으는 것”이라며 “그 주체가 손학규 대표가 할 수 있고 손학규 대표가 되어야만 정권교체가 저는 가능하다 이렇게 본다”고 설명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의 연대론에 대해 그는 “안철수 대표님이나 손학규 대표님이나 목표는 정권교체라는 게 공동의 목표라고 저는 생각을 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조금씩 양보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재인 전 대표와의 연대는 최종적으로 고려될 것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손 전 대표의 정치세력화가 구체적으로 모습을 드러낼 시기와 관련, “손 대표님께서도 정계 복귀하면서 말씀을 소처럼 천천히 걸어가겠다고 말씀하셨는데 조금 더 과정을 지켜봐주시면 좋겠다”고 말을 아꼈다. 하지만 그는 “소처럼 걸어가서 때가 되면 신당이 창당이 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다양성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그는 “어디로 들어갈 수 있는 거는 저는 아니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입당 가능성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예기다.
개헌과 관련해 이 의원은 “일단 시간적으로 좀 촉박하지 않을까 그런 관점에서 봤을 때 우선은 정권교체가 앞에 있는 게 아닌가 이렇게 생각을 해 본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