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가 최고 정보기관이 국가 안보를 위한 순수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더는 논쟁이 없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다만 속기록을 확인한다고 해도 발표 내용과 범위 등을 두고 여야간 조율이 필요해 즉시 공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국정원 국감에서는 새누리당 정보위 간사인 이완영 의원의 브리핑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더불어민주당 정보위원들의 반발로 여야 간 진실공방이 벌어졌다. 이 의원은 당시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에 앞서 북한에 의견을 구하자고 했느냐’는 질문에 이병호 원장이 ‘맞다’고 대답했다”고 발표했다.
이 위원장은 또 “지금과 같은 형태가 계속되면 국가정보기관이 또다시 정쟁에 휘말릴 수밖에 없다”면서 “앞으로 정보위 회의와 관련해 브리핑 제도나 방법에 대해 획기적인 개선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는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정보위원이 누군지도 모른다. 비공개다”고 한 뒤 “미국도 모든 보고는 (의회에) 다 하는 대신 브리핑은 하지 않는다”고 말해 향후 정보위 회의를 비공개로 할 것을 시사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