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에서 한·미 외교·국방장관 회담 연쇄 개최… 북핵 대응 논의

입력 2016-10-19 08:49 수정 2016-10-19 09:14
사진=국방부 제공

한국과 미국의 외교·국방장관이 19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잇따라 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적·군사적 방안을 협의한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무부에서 존 케리 국무장관과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을 만나 한·미 외교·국방장관(2+2) 회담을 연다.

양국 외교·국방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3월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이행 상황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을 실질적으로 압박할 새로운 제재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 장관은 18일 워싱턴DC의 한국전쟁 미군 참전비에 헌화한 뒤 기자들을 만나 “대북제재는 유엔 안보리의 제재, 미국을 포함한 우방의 독자제재, 여타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조치가 있다”며 “이번 한·미 2+2 회담에서는 세 가지 축에서 이뤄지는 대북제재가 최대한 효과를 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특히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를 구체화하고 제도화하는 방안을 심도있는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확장억제는 미국이 동맹국에게 본토 수준의 핵 억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핵우산, 재래식 무기, 미사일방어체계 등으로 구성된다.

한 장관은 2+2 회담과 별도로 20일 카터 국방장관을 만나 연례 한·미 안보협의회의(SCM)를 열고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한 장관은 “한미 2+2 회담과 SCM은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하고 지속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엄중한 안보 상황에서 열리는 만큼 어느 때보다도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