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노인성 질환인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성인 70~80%가 앓고 있다. 나이를 먹으면 생기는 흔한 질환이라고 방치했다가는 인공관절로 교체해야 하는 퇴행성관절염 말기까지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노년기의 행복한 삶을 포기하고 통증을 참고 견딜 필요는 없다.
최근 ‘100세 시대’ 필수 조건으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관절’ 이다. 과거 질병의 치료 개념이었던 ‘인공관절 수술’은 갈수록 행복한 노년을 위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자 운동능력 회복의 의미로 발전되어 왔다.
60~70세는 이제 노인이라고 칭하기 민망할 정도이며 단순히 ‘오래 사는 것’ 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노후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인공관절수술에 대한 진화를 불러왔고, 최근에는 3D프린터를 이용한 인공관절 수술법이 발전해오면서 수술의 오차가 줄어들고 조직 손상이나 출혈도 적어져 수술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있어 인공관절 수술에 대한 부담이 훨씬 적어졌다. 또한 환자마다 다른 관절에 따른 수술도구와 인체에 친화적인 인공관절 재질의 진화로 환자의 자가 연골에 가까운 맞춤형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은 3D프린터를 이용해 환자의 무릎 연골 병변 두께, 모양, 하지정렬에 맞는 인공관절 모형을 제작한 후, 이 모형에 맞는 수술도구를 제작해 시행하는 방법으로 하지정렬의 오차없이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다. 정확성이 높아 수술시간도 단축되며, 절개 부위가 축소되어 출혈량이 감소해 폐부종, 하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국제 인공관절수술, 관절내시경 공식 수련병원’으로 지정된 강북연세사랑병원 김용찬 원장은 “수술 전 환자의 무릎 관절의 크기와 모양을 정확히 측정해 연골에 딱 맞는 3차원적 ’절삭 안내장치(Jig)를 제작하여 수술을 시행한다”며 섬세한 수술이 가능해지면서 손상부위만을 절제해 인공관절로 치환하는 부분치환술로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신의 건강한 관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술 자체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기피하고 노년의 행복을 포기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 같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