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적 국회의원 연구단체인 경제민주화 정책 포럼 ‘조화로운 사회’가 전경련 해체 문제를 주제로 긴급 토론회를 개최한다.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의원은 오는 20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조화로운 사회 주최로 ‘전경련, 왜 문제인가?’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조화로운 사회는 이 의원과 더민주 최운열 의원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토론회 토론자로는 ‘재벌 저격수’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과 조대환 국가미래연구원 이사, 이 의원,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나선다. 이들은 최근 드러난 전경련의 문제점에 대해 진단하고 경제민주화와 대한민국 경제 발전을 위한 전경련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전경련은 61년 5.16 쿠테타 이후 부정축재자로 몰린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 기금을 내고, 그 기반으로 생긴 단체로, 이후 일해재단, 대선비자금 사건 등 관치경제, 정경유착의 창구의 역할을 해왔다”며 “표면적으로는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 구현과 우리 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2011년 정치인 로비 그룹별 할당내부보고서 의혹, ‘어버이연합’ 지원의혹, ‘미르·K스포츠’재단 모금과정 기업들에게 강제 할당 의혹 등 여전히 정부와 기업 간 창구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9월 대정부질문을 통해 전경련의 자발적 해체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적이 있었으나, 정부와 전경련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해왔다”며 “국정감사를 통해 제기된 각종 의혹들은 전경련과 정부의 관계가 유착관계를 넘어 관제데모 지원, 정체불명의 재단설립 등 그 정도를 더해 가고 있음이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이제 전경련은 강제 모금 등 전경련을 위한 전경련으로 관료화되고, 권력화 되고 있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전경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재벌·대기업-중소상공인·서민간의 양극화 해소 및 경제민주화를 실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과 심 대표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자발적 해체 촉구 결의안‘을 각각 대표발의하는 등 전경련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