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영상의학과 변재호 교수 연구팀이 2011년 11월부터 2014년 8월까지 간암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간경화 환자들에게 MRI와 간 초음파 검사를 6개월 간격으로 실시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 MRI 검사의 간암 조기 발견율은 86%에 이른 반면, 초음파 검사는 그 비율이 27.9%에 그쳤다. 간암 발생 고위험 간경화 환자에서 MRI 검사가 간암세포를 약 3.1배나 잘 찾아낸 셈이다.
지금까지 세계 의학계의 진료지침은 간암 발생 가능성이 높은 간경화 환자의 경우 간암 발생 감시를 위해 초음파 검사를 6개월마다 받도록 권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간세포 특이 조영증강제를 이용한 MRI 검사로 고위험군 환자를 관찰하면 간암을 조기 발견해 완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0∼50대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초음파 검사와의 비교연구를 시작했다.
[사진] 변재호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가 간세포 특이 조영증강제를 이용한 MRI 검사를 통해 중증 간경화 환자를 관찰하며 간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연구팀은 우선 2011년 11월부터 6개월 간격으로 연간 간암 발생 확률이 5% 이상인 간경화 환자 407명을 대상으로 MRI와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3회씩 실시해 간암 여부를 확인하고 두 검사 간의 간암세포 발견율을 비교했다.
1차 검사에서 MRI는 27명, 초음파 검사는 11명에게서 암세포를 발견해냈다. 2차 검사에서는 MRI로 8명, 초음파로 1명을 간암으로 진단했고, 3차 때에는 MRI만이 간암 환자 2명을 추가적으로 찾아냈다.
연구 기간 중 실제 간암이 발견된 환자는 총 43명이었다. 이중 86%(37명)는 MRI검사를 통해, 나머지 27.9%(12명)는 초음파검사를 통해 간암을 발견했다. 특히, 2차‧3차 검사 기간 동안 MRI는 환자 10명에서 간암을 발견한 반면 초음파는 단 1명에게서만 간암을 발견해냈다.
또한 MRI 추적 검사로 발견한 간암 환자들은 대부분(84.8%) 종양의 크기가 2cm이하로 초기 단계여서 완치적 치료가 가능했다.
아울러 실제 간암이 없는데 간암이 있는 것으로 잘못 판정하는 비율인 위양성율도 MRI(3.0%)가 초음파(5.6%)보다 약 두 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임영석 교수는 “초음파 검사는 초음파 투과 정도 차이만으로 암을 찾아내기 때문에 화면이 마치 흑백사진과 같아 간경화가 심한 경우에는 찾기 힘들었지만, 간세포 특이 조영증강제를 투여한 후 MRI를 촬영하면 간 종양의 혈관 분포와 세포 분화도까지 함께 관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