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고령사회를 맞아 일자리 3만개 창출 등 단순 재정지원에서 탈피한 현장복지를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어르신 복지 정책 추진에 적극 나선다.
경남도는 찾아가는 빨래방서비스와 홀로 어르신 주거환경개선․공동생활가정설치 등 어르신 맞춤형 복지시책 지속 확대를 통해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에 대처한다고 17일 밝혔다.
경남은 지난 6월말 기준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사회․경제적 활력 저하 우려와 함께 노년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도는 맞춤형 서민복지 7대 시책 중 찾아가는 빨래방서비스, 홀로어르신 주거환경개선, 홀로어르신 공동생활가정설치, 응급안전서비스 등 6개 시책을 어르신 복지에 맞춰 추진한다.
먼저 맞춤형 어르신 복지서비스로 거동이 불편한 홀로어르신의 생활불편을 덜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이불 등 대형세탁물을 수거․세탁․건조 후 배달하는 빨래방서비스를 한다.
또 저소득 홀로어르신의 노후주택을 대상으로 도배와 장판교체, 화장실 개보수 등을 지원하는 홀로어르신 주거환경개선 사업을 진행, 올해까지 786세대를 지원한다.
이 외 홀로어르신 5~10인이 함께 숙식하는 생활공간 개보수를 지원하고, 고독사 등 불의의 사고 방지와 외로움 해소 및 사회적 관계 개선을 위해 홀로어르신 사회안전망 강화 돌봄시책을 확대 추진 한다.
도는 또 홀로어르신 안전확인사업으로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홀로 사는 어르신 응급안전 서비스 사업’을 추진하며 경노당 조직을 활용한 ‘어르신 안부확인 전화사업’ 등을 한다.
마지막으로 지난해 2만400여명의 어르신들에게 일자를 제공한 경남도는 올해 2600여 개(12.8%) 늘어난 2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오는 2018년까지 3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명규 도 서민복지노인정책과장은 “급속한 고령화로 ‘노년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노후 소득보장 및 돌봄서비스, 여가활동, 일자리 사업 등 어르신 맞춤형 복지시책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도, 고령화 사회 ‘어르신 맞춤형 복지’ 확대
입력 2016-10-17 1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