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정보보호전담과 황희 교수 연구팀이 아주의대 박래웅, 윤덕용 교수팀, 분당서울대병원 황희 교수팀, 동양대학교 안은경 교수팀 등과 함께 병원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약물투여(투약) 오류의 원인을 객관적으로 분석,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을 찾았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2년 한 해 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이뤄진 2900만여 건의 투약사례 중 오류경고가 발생한 약 3만여 건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투약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 중에서 투약시간, 처방종류, 투여경로 등이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또한 현재 분당서울대병원이 활용하고 있는 실시간 투약오류 경고 시스템이 환자 안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실시간 안전투약 모니터링 시스템
투약오류 위험은 비정규 투약시간 때가 정규 투약시간 때보다 1.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 종류별로는 정기 처방과 비교해 볼 때 추가처방과 응급처방 쪽에서 투약오류가 약 1.4~1.5배 더 많이 발생했다. 투여경로에 따른 투약오류 발생 가능성은 주사약이 경구약이나 외용약보다 약 5~15%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도표] 투약시간과 투약건수, 간호사 근무스케쥴과 오류 경고율 관계
황연수 분당서울대병원 의료정보센터 정보보호전담은 “투약시간, 처방종류, 투여경로, 단위시간당 투약건수가 투약 오류를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이며 업무량보다는 간호사가 투약업무에 전적으로 집중할 수 없는 병동 환경적 요인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약물역학분야 국제 학술지 ‘파마코에피데미올로지 앤드 드럭 세이프티’(PDS)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