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치매 치료 및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화학도구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자연과학부 임미희·김광수 교수팀이 서울아산병원 이주영 교수팀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원인을 골라 제거할 수 있는 화학도구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화학도구 설계 기술은 알츠하이머 원인으로 알려진 각 요소에 대응하기 알맞은 분자 구조와 반응 메커니즘까지 고려한 저분자 화합물을 만드는 것이다.
임 교수팀은 환자마다 알츠하이머 유발 요소의 분포가 다르다는 점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했다. 환자 혈액이나 뇌 조직에서 각 요소가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에 주목한 것이다. 각 요소를 억제하는 최적의 분자를 설계할 경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분자들이 각 원인을 억제하는 과정을 관찰하면 알츠하이머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연구 결과 모두 4개의 분자가 설계됐고 각 분자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알츠하이머 발병 요소 독성을 억제하는지 규명했다. 어떤 분자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산화하거나 분해하는 방식으로, 다른 분자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금속이온, 분자로 이뤄진 복합체를 이뤄 독성을 억제했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단순한 화학구조를 변화시켜 알츠하이머 유발 인자를 골라서 잡을 수 있다는 걸 밝혔다”며 “알츠하이머 발병 요소 간의 연관성은 물론 각각의 역할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UNIST 연구진 치매 원인 규명 화학도구 설계기술 개발
입력 2016-10-16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