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위한 코리아세일페스타… 대형마트는 격주휴무도 없앴는데 시장 지원은 13억원

입력 2016-10-14 15:26
소비심리 개선과 내수 활성화를 기대하며 정부가 추진한 코리아세일페스타가 대기업 유통업체들을 위한 이벤트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면세점·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기업 유통업체 매출을 높이기 위해 코리아세일페스타 대규모 특별할인기간을 중국의 국경절에 맞추고 일요일 격주 휴무까지 없애는 등 애를 쓴 반면 전통시장에는 13억원을 지원하는데 그쳤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덕에 전통시장 매출이 증가했다는 자료도 정부의 지원이 집중된 40여개 시장을 대상으로 조사해 정부가 여론을 조작하고 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3일 배포한 코리아세일페스타 참여업체 매출액 증가 자료를 두고 “대기업 유통 매장 살리겠다고 만든 이벤트”라며 “코리아세일페스타 때문에 전통시장은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산업부는 지난달 29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 코리아세일페스타 대규모 특별할인기간에 참여한 54개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간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 10.1% 증가했고 행사가 없었던 2014년과 비교했을 때는 35.8% 늘었다.
특히 면세점은 중국의 국경절이 특별할인기간과 겹치면서 매출 증가율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5% 증가했다.
행사 참여가 대폭 확대된 온라인 쇼핑몰은 전년보다 12.3% 늘었고 대형마트와 가전전문점, 편의점의 매출도 각각 1.6%, 5.7%, 15.8% 늘었다. 그러나 산업부는 전통시장 매출은 “관리 주체가 중소기업청”이라며 공개하지 않았다.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에는 정부가 집중 지원하는 시도별 17개 대표시장을 포함, 총 405개 전통시장이 행사에 참여해 지난해(200여개)보다 대폭 확대됐지만 전통시장의 특성상 정확한 매출집계가 어려웠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대신 12일 중기청이 배포한 자체 설문조사를 내세웠다. 응답자 64.4%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답했고 평균 매출액의 증가폭은 18.5%였다.
그러나 정부의 발표와 달리 코리아세일페스타에 참여한 전통시장의 불만은 컸다.
특히 산업부가 특별할인기간 중 대형마트의 격주 휴무를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일시적으로 없애면서 전통시장의 매출 타격을 키웠다.
지난해 전통시장에 한 푼도 지원하지 않았던 산업부가 올해 13억원을 지원한 것을 두고도 말들이 많았다.
한 상인은 “격주 휴무를 없애면 시장 상인들의 반발이 클 것이라 보고 무마용으로 지원한 것 아니냐”면서 “그나마도 재정 여력이 있는 17개 거점시장에만 투입됐는데 지원액은 500만~700만원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산업부의 요구에 급하게 내놓은 중기청의 자료에도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코리아세일페스타에 참여한 400여개 시장 중 매출액을 조사한 시장은 17개 거점 시장을 포함한 40여개에 불과했다.
이처럼 전통시장의 불만이 커지면서 중기청 내부에서도 “산업부에 속았다”는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산업부의 강요로 전통시장이 참여하도록 독려했지만 행사 자체의 특성이 시장과는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도 “정부의 프레임에 갇혀 있었다. 소상공인이 대형 유통업체와 대항할 수 있겠나”며 “같이 한 것이 후회된다”고 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