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우리·신한은행이 임직원들에게 통합 멤버십 실적을 독려하기 위해 131억8000만원대 보너스를 멤버십 포인트로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은행별 모바일 메신저 및 멤버십 제도 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KEB하나, 우리, 신한은행은 통합 멤버십과 모바일 메신저 개발과 도입에 363억7000만원을 투입했다. 임직원에게는 권유실적 독려 및 프로모션 명목으로 131억8000만원의 보너스를 지급했다.
은행별로는 KEB하나은행이 통합 멤버십 제도인 ‘하나멤버스’ 개발과 도입에 170억원을 투입했다. 우리은행은 ‘우리멤버스’(위비마켓 포함)에 107억2000만원을 썼다. 모바일 메신저 ‘위비톡’에는 24억원을 들였다. 신한은행은 ‘신한판(FAN)클럽’에 62억5000만원을 썼다.
김 의원은 “은행들이 자사상품의 실적 늘리기를 위해 임직원의 보너스까지 유용한 셈”이라며 “최근 은행업권이 멤버십과 모바일메신저 도입 과정에서 은행들이 임직원에게 영업실적을 압박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너스까지 포인트로 지급하는 등 자사상품 홍보를 위해 직원들을 쥐어짜는 방식의 영업행위는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