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는 다른 의료기관과 달리 중증 암환자가 많고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 항암제 등 치료에 필요한 약을 정해진 시간에 꼭 먹어야 하는 환자가 상당수다. 하지만 국립암센터에서 기본적인 투약 지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승희 의원이 국립암센터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총 197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고 낙상사고(1155건)와 투약사고(725건)가 사고 유형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투약사고는 2011년 57건, 2012년 70건, 2013년 147건, 2014년 138건, 2015년 227건으로 증가 추세다.
김 의원은 국립암센터에 입원한 환자 대부분은 다른 의료기관과 달리 중증 암환자가 대다수이고 이들은 수술 전·후를 가릴 것 없이 면역력이 약한 상태라 투약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지만 투약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5월에 국립암센터에 입원한 A환자는 항생제인 '타조페란'의 투약시각을 의료진이 착각해 환자가 호흡장애, 호흡곤란 상태에 빠졌고 환자 보호자의 신고로 긴급하게 약물이 처방됐다.
위암 진단을 받고 지난 2월 복강경으로 위절제 수술을 받고 패혈증을 치료 중이던 B환자는 간호사의 실수로 설사약을 투약해 수차례 설사를 반복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중증환자의 경우 수술 전·후 가릴 것 없이 처방약과 주사제는 환자 인체의 면역력이 약한 상태에서 투약되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