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세종역 신설 추진 논의가 구체화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를 반대해 온 충북도와 청주시 등이 발끈하고 나섰다.
9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 민·관·정 협의체는 이날 오후 청주의 한 음식점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세종역 신설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시민사회단체 대표, 경제인 단체 대표, 여성단체 대표 등 협의체 위원 25명과 새누리당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 더불어민주당 도종환(청주 흥덕) 의원 등이 참석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난 8월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했고 연말에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국토교통부와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역 신설 예정지는 대전·세종 경계지역인 세종시 금남면 일원으로 오송역과 15㎞, 공주역과 20㎞ 정도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세종역이 신설될 경우 세종시 관문역인 오송역과 지난해 4월 개통한 공주역의 역할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오송역과 공주역 사이에 세종역이 들어서면 역간 거리가 짧아져 ‘저속철’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세종역 설치 문제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세종) 의원이 20대 총선 공약으로 전면에 내세워 그동안 정치권에서는 거센 논란이 이어졌고 세종시도 2014년 확정한 2030도시기본계획에 세종역 신설 계획을 반영했다.
청주시의회는 최근 KTX 세종역 신설 반대 건의문을 통해 “오송역은 대전 시민과 충남·북 도민들의 지원과 합의에 따라 세종시 관문역으로 탄생했다”며 “국토 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시는 오송역 기능을 약화시켜 지역 균형발전을 저해하고 충청권 공동체의 갈등을 조장하는 KTX 세종역 신설을 철회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