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행정자치부가 임산부의 날(10월 10일)을 맞아 지방여성공무원과 관련한 통계를 공개한 바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전국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은 총 10만15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공무원 29만7316명의 34.1%로 전체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이 여성인 셈이다.
공무원의 합계출산율은 1.40명으로 전체 국민의 합계출산율인 1.24명에 비해 높았다. 자치단체 전체 공무원의 평균자녀수는 1.90명으로 시도별로는 제주도가 2.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남(2.07명), 전북(2.05명)이 2.0명을 돌파했다.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1.80)이 가장 적었다.
2명이상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77.1%에 달해 첫째 자녀가 있는 경우 대부분이 2명이상의 자녀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3명 이상되는 다자녀공무원도 2만3232명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자녀 수가 있는 공무원은 전남 진도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모 주무관으로 10명의 자녀가 있는 다둥이 아빠다.
자치단체 공무원중 남성공무원은 84.1%, 여성공무원은 67.8%만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은 남성공무원이 15.9%인데 반해 결혼하지 않은 여성공무원은 남성의 2배가 넘는 32.2%였다.
세종시 여성공무원의 경우 기혼비율 대비 미혼비율이 40.9%로 미혼여성 공무원이 가장 높았다. 울산은 27.6%로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20~30세까지의 미혼비율이 89.7%에 달해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30대 이후에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자부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주요 출산장려 및 모성보호 관련정책을 육아휴직제도, 모성보호시간도입, 육아휴직에 따른 업무대행지정, 시간선택제 근무전환, 특별휴가제도, 유연근무제도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채홍호 행자부 자치제도정책관은 “저출산 문제가 국가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우려가 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선도적으로 저출산 해소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이 확산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지속적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행자부,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이 여성…세종시 미혼비율 40%
입력 2016-10-09 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