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2011~2014년 미국에서 생산된 쏘나타 모델 구매자의 수리비용 전액을 배상하기로 합의했다. 결함논란을 빚고 있는 해당모델의 세타엔진은 한국에서도 생산돼 장착됐지만 정작 리콜은 미국에서만 실시돼 현대차가 한국 소비자를 역차별한다는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9일 현대차에 따르면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 생산된 세타Ⅱ 2.0ℓ와 2.4ℓ 가솔린엔진을 탑재한 2011~2014 쏘나타를 구매한 미국 소비자들이 제기한 집단소송에서 원고 측과 합의했다. 소비자들은 해당모델이 엔진이 꺼지거나 소음·진동이 발생했지만 현대차가 결함을 숨긴 채 차량을 판매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해 왔다. 현대차는 88만5000명에 달하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무상엔진점검과 수리, 파워트레인 보증기간 연장, 이미 지출한 수리·견인·렌터카 대여비용 등을 모두 배상키로 했다. 이미 중고차로 판매한 경우에는 해당 결함으로 인한 감가상각비용까지 물어주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미 미국 현지에서 해당모델 리콜을 결정하며 엔진결함을 인정했었다. 그러나 같은 모델을 구매한 한국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역차별 논란을 불러 왔었다. 현대차 관계자는 “결함이 발생한 것은 맞다”면서도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만 발생한 문제”라고 해명했다. 공정 과정에서 이물질이 엔진 핵심부품에 들어가면서 발생한 문제라는 설명인데, 엔진의 구조적 결함이 아닌 공정상 결함일 뿐이며, 한국 공장에서 생산된 엔진에서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차의 해명에 대한 반박이 계속 나오고 있다. 우선 현대차가 리콜을 결정한 모델은 2011~2012년 생산된 모델 47만대에 한해서였다. 2013년 공정을 재정비했고, 이후 모델들에서는 해당결함이 나오지 않는다고 현대차는 설명했었다. 그러나 이번 미국소송 합의내용에는 2013~2014년 쏘나타 모델도 포함됐다. 공정과정의 문제가 아니라 엔진 자체 구조적 결함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엔진 내부 핵심부품의 강성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 자동차 전문가는 “이물질이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맞다. 하지만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차량들은 모두 10만㎞ 정도 운행한 차량에서 발생되고 있다. 만약 이물질이 문제였다면 1~2만㎞에서 문제가 발생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엔진 내 핵심부품인 콘로드베어링의 강성이 낮아 차를 오래 주행할수록 해당 부품이 소착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