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만에 열린 금융위원회 국감장에서 ‘진실게임’이 펼쳐졌다. 이틀 전 국감에 출석했던 조양호 한진해운 회장과 엇갈린 증언을 비롯해 법정관리 인지 시점이 언제인지, 또 최근 벌어진 금융위 직원의 산하기관 여직원 성폭행 문제까지 민감한 문제가 쏟아졌다.
이날 국감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6층 정무위 회의실에서 오전 10시 시작됐다. 먼저 불이 붙은 건 조양호 회장과 임종룡 금융위원장과의 책임 공방이었다. 이날 자리에서 임 위원장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로 가기 전까지 산업은행이 여러 경로를 통해 별도의 대안을 내놓으라고 한진해운에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 4일 산업은행 국감에서 조 회장이 “최종 자구안을 제출한 뒤 법정관리로 가기 전까지 채권단에게서 법정관리 가능성과 추가 자구안을 내놓으라는 이야기가 없었다”고 주장한 것과 상반된다.
임 위원장은 조 회장의 증언을 인용한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들의 질타에 억울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임 위원장은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로 가기 전에 ‘제출한 자구안이 부족하다’고 통보했다”라면서 “더 강하게 해서 뭐든지 얻어냈어야 한다면 인정하지만 전혀 노력을 하지 않은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사실을 알게 된 시점 역시 논쟁거리가 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유일호 부총리의 지난달 청문회 발언을 언급하며 임 위원장 역시 채권단이 법정관리를 결정한 다음날인 8월 31일에야 이를 알았는지 추궁했다. 29일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임 위원장이 이를 미리 알았을 것이란 의심이다.
박 의원은 비공개 회의에 산업은행장이 참석한 사실을 들며 채권단 회의 바로 전날 열린 회의에서 산업은행이 보고도 없이 법정관리를 진행했을 리 없다면서 또다른 ‘서별관 회의’가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임 위원장이 “법정관리는 채권단(인 산업은행)이 결정한 것이다”라면서 맞서자 박 의원은 “다음날 벌어질 일을 하나도 몰랐다면 금융위원장이 무능한 것”이라고 받아쳤다.
이날 보도된 금융위 사무관의 산하기관 여직원 성폭행 사건도 논란거리였다. 금융위 소속 5급 사무관 A(32)씨가 금융기관 직원 B씨를 추행하고 노래방으로 업어간 뒤 강제로 성관계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가운데 금융위에서 경찰에 이를 무마하려했단 의혹이 일었다. 또 금융위가 이후 기자들에게 두 사람을 ‘연인 관계’였다고 해명하려 한 게 문제가 됐다.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은 “경찰 관계자에 의하면 7월 경찰 수사가 본격화하자 금융위가 조직의 명예와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종로경찰서를 상대로 조용한 사건 처리를 요청했다”면서 “금융위가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가해자와 피해자가 연인 관계였다’고 대응해 2차 피해를 야기했다”고 주장했다. 국감장에 자리한 금융위 감사담당관은 “사건 경위를 듣고자 종로경찰서를 1회 방문했지만 사건 무마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조효석 기자 @prom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