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역 가운데 4호선 사당역과 분당선 선릉역에서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7~9월 두 달간 호선별 하루평균 이용객이 많은 역과 환승역 등의 냉각탑을 대상으로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시범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검사대상은 1호선 신도림·종각·서울역, 2호선 홍대입구·잠실역, 3호선 고속터미널·양재역, 4호선 사당역, 5호선 광화문역, 6호선 연신내역, 7호선 학동역, 8호선 천호역, 9호선 여의도역, 분당선 선릉역, 신분당선 강남역 등 15개역이다.
레지오넬라균속(Legionella spp)은 주로 대형건물의 냉각탑수 등의 오염된 물에 존재하던 균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
검사 결과 사당역에선 2만2000CFU/ℓ, 선릉역에선 1만200CFU/ℓ의 균이 각각 검출됐다. 균 수가 1만~100만CFU/ℓ 미만일 때는 2~3주 후 재검사해야 하며 균 수가 상승하면 청소·살균소독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시는 시설관리기관인 서울메트로와 분당선 측에 정기적인 소독조치 등을 요청했다. 지상에 있는 사당역 냉각탑은 소독강화조치와 안내표지판 부착, 수목식재 조치 등을 권고했다. 지하실 냉각탑인 선릉역엔 소독 조치했다.
시는 매년 지하철 냉각탑수의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에 ‘레지오넬라증 관리 지침상 지하철 냉각탑 검사 추가’ 방안을 건의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사당역·선릉역 등 2곳 냉각탑서 레지오넬라균 검출
입력 2016-10-06 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