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영화제가 오랜 협상 끝에 타결한 정관의 성과는.
“분명한 성과는 표현의 자유, 영화제의 독립성 확보다. 영화 선정을 집행위원장과 프로그래머의 고유 권한으로 못박았다. 조직위원회 구성도 성과다. 처음엔 조직위에 영화인이 나밖에 없었다. 지금은 5:5의 비율이다. 부산에서 열리기 때문에 부산시 관계자가 들어올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개정된 정관에 대한 불만과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의 구형으로 한국영화감독조합 등 영화계 네 개 단체가 영화제를 여전히 보이콧하고 있다. 이들에게 바라는 바는.
“물론 부산시와 영화인 양쪽다 정관 개정에 100% 만족은 못한다. 당연하다. 영화제 입장에선 어떤 형태로든 참여해주길 바라지만, 각 영화인들의 결정을 존중한다. 계속 설득할 것이다.”
-영화제를 준비하는 동안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김영란법 여파가 있을 듯하다.
“지난해 영화제가 존폐위기에 있다는 얘기를 듣고 앞뒤 안가리고 도움이 될까해서 위원장을 맡았다. 이후 하루도 안 힘든 날이 없었지만 개막을 앞둔 일주일이 제일 힘들었다. 막상 와보니 내가 할 수 있는게 하나도 없더라. ‘산 넘어 산’이 아니라, 아예 산을 못 넘고 있다. 게다가 부산영화제는 김영란법 시행 이후 최대 문화행사라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대형투자배급사들이 매년 영화제 기간 열어온 다양한 행사들을 취소했다. 투자와 마케팅의 장이 사라져 아쉽다. 그래도 초정작 상영, 감독과의 만남 등 영화제의 본질적인 행사는 차질없이 열린다.”
[사진] 부산=김지훈 기자
부산=한승주 문화팀장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