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새누리당 박명재 의원(포항남구·울릉)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회차별 연금복권수익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발행 첫해(2011년) 약 500억원의 수익을 거뒀던 연금복권의 수익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에 따르면 연금복권 1회당 평균수익을 살펴보면, 출시 첫해인 2011년에는 1회 평균 19억 1,983만원의 수익을 올렸지만 지난해 1회 평균 1억 37만원으로 평균 수익이 94.8%나 감소했다.
회차별 적자 횟수도 점점 증가해 수익을 내는 횟수보다 적자를 내는 횟수가 더 많아 지고 있다.
2011년 26회 발행으로 499억 1,560만원, 2012년 52회 발행으로 517억 9,080만원의 수익을 냈으나, 2013년 324억 1,776만원, 2014년 109억 2,709만원으로 수익이 하락해 지난해 52회 발행으로 52억 1,970의 수익을 올렸다.
더 큰 문제는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연금복권 발행시 오히려 정부가 손해를 보는 경우도 늘고 있다. 2012년 3회, 2013년 12회, 2014년 26회로 점점 손실 회차와 손실액이 늘어나 지난해에는 52회 발행 중 35회의 적자를 냈다.
이처럼 연금복권의 수익이 저조해진 이유는 초기에 비해 판매가 현격하게 줄었기 때문이다. 연금복권은 출시 직후 5개월간 ‘완판' 행진을 벌였지만, 일시금 형태의 당첨금에 대한 선호가 늘어나면서 인기를 잃었다.
박명재 의원은 “복권 수익금은 장애인 종합복지관 건립, 저소득노인 생활안정사업 등 소외계층을 위한 공익사업사업에 사용되므로 복권수익이 크게 줄어들면 국가운영에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며, “복권의 순기능인 공익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사행심을 조장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권상품의 다양한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