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는 땅값 협상에 대한 줄다리기는 접점에 근접했으나 투자유치에 대한 보장 및 담보방안에 대한 막판 진통 때문이다.
인천시 협상책임자인 조동암 정무경제부시장은 4일 “토지매각은 거의 확정됐다”면서도 “하지만 1% 때문에 협상이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땅매각에 대한 의견접근이 이뤄진만큼 계약이 성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조 부시장은 “국토교통부, LH, 산업자원부와 협의를 통해 택지개발이 아닌 경제자유구역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진통이 거듭되고 있다”며 “땅의 절반이 LH 소유여서 TF팀을 통해 단독시행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시 내부에서는 협약안에 대한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식 일정을 잡은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당초 3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겠다며 4일 오전 11시 이후 보도를 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같은 시간 엠바고 해제와 함께 영상회의실에게 검단스마트시티 기본협약서 체결식을 하겠다고 공지했었다.
인천시 도시공사도 당초 오전 11시에 체결키로한 협약을 할 수 없게 돼 시가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검단스마트시티는 서구 검단새빛도시 470만㎡에 정보통신기술(ICT)·미디어콘텐츠·교육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해 업무·주거·오락·교육 기능을 포함한 복합도시를 추진하는 경제자유구역 사업이다.
두바이 홀딩스는 5일 거가위 장관이 입국한 뒤 6일 자체 행사를 통해 사업설명회를 추진하고 있다.
조 부시장은 “두바이 일정에 맞춰 협약을 하고 싶었으나 사업추진을 위한 안프라 등에 대한 두바이 홀딩스 측의 요구가 거세 법령 검토가 필요하다”며 “깍아주더라도 기준과 법령에 따른 명분이 있어야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성명을 통해 “검단스마트시티 조성은 애초부터 실현성에 의문이 제기되던 사업”이라며 “경기도의 한 도시에서 인천과 똑같은 사업을 추진하다 무산된 사업이어서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질타했다.
인천도시공사 노동조합도 성명을 통해 “땅값을 낮추기위해 검단신도시의 택지개발지정을 풀고 경제자유구역지정을 인천시가 지시하면서 사업이 중단된 상태”라며 “토지가격 협상 답보로 검단신도시 사업이 지연되면서 연 2000억원의 금융비용을 부담하는 등 사업비 조성원가가 상승하고 있어 원안대로 택지개발을 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