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에게만 허락된 北 재테크...환전 및 부동산 집중”

입력 2016-10-04 08:28

북한 대부분의 주민들은 자신들이 소유한 재산이나 현금을 신고하지 않는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뉴포커스가 4일 보도했다.

 북한 은행에는 1990년대 초만 해도 돈을 맡기거나 찾으러 온 사람들로 붐볐지만, 지금은 사람들의 발길이 뜸해졌다고 한다. 지방 도시에 위치한 은행들은 하루 종일 사람 그림자도 볼 수 없을 정도로 한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주민들은 물건이나 돈 등을 중국 위안화나 달러로 환전하여 보관한다고 한다. 이것이 북한식 재테크다.

 대표적인 재테크로는 중국을 통해 들어오는 가전 제품을 도매값으로 다량으로 구매한 뒤 일정한 값을 붙여 되파는 장사라고 뉴포커스는 전했다.

 특히 국경과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유통시키면 두 배 이상의 이윤을 남길 수 있다고 한다. 품목으로는 냉장고, 세탁기, TV, 재봉기, 선풍기 등이 있다.

 한 탈북자는 "재테크는 보위부나 검찰소 등에 미리 손을 써 놓는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그는 "손을 써놓지 않고서는 그런 장사를 할 수 없다. 중국에서 들여 온 상품은 다 불법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무상 몰수 될 수 있다"며 "나도 예전에 물건을 사 놓을 때 윗사람들한테 미리 다 손 써놓았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자는 "북한에서 돈을 벌려면 무조건 불법이어야 한다. 땅을 관리하는 산림보호원이나 주택관리소 책임 관리에게 뇌물을 주면 된다. 그런 사람들은 자기 마을대로 땅을 살 수 있고, 그 위에 건물도 지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이런 편법도 땅 관리가 허술한 몇몇 지역만 가능하다. 함경북도 동네에도 이런 식으로 재테크하는 사람들은 1~2명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국경지방같은 경우는 국토관리부에서 집적 나와 검열하기 때문에 잘못 손을 댔다간 큰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