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오스미 요시노리(71)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3일 “도전하는 것이 과학의 정신이며 연구가 어디로 흘러갈지를 모르고 해야 과학이 제일 재밌다”고 말했다.
NHK방송에 따르면 오스미 교수는 도쿄공업대가 있는 도쿄 메구로구의 오오카야마 캠퍼스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며 “나도 내 연구가 수명 연구로 이어질 것이란 확신 없이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오스미 교수에게 노벨상 수상의 영광을 안긴 연구는 ‘세포 내 청소부’ 역할을 하는 오토파지(자가포식) 현상이다. 이 연구는 암이나 당뇨병, 파키슨병을 치료하는데 쓰여 인간의 수명 연장에 활용된다.
오스미 교수는 “다른 사람이 하지 않는 것을 하려는 생각에서 오토파지 연구를 시작햇다”면서 “자기만의 기초 연구를 꾸준히 하다보면 나중에 좋은 연구로 전환되면서 결실을 맺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초과학을 잘 지켜주는 사회가 되어 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오스미 교수는 노벨위원회의 수상 발표 2시간 전에 “축하한다”는 인사와 함께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노벨상 상금을 어디에 쓸지에 대해선 “이 나이가 되면 큰집에 살고 싶은 마음도 안 생긴다”면서 “젊은 사람의 연구를 지원하는데 썼으면 한다”고 밝혔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오스미 교수에게 전화를 걸어 “난치병 환자에게 빛을 준 연구”라고 평가하면서 축하 인사를 건넸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