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을 주장하고 있는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창당준비공동위원장은 3일 “권력형부패가 만연하는 것에 대해 제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생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권력형 부패와 갈등에 대해 언제든지 조사할 수 있고, 언제든지 책임을 물을 수 있어야 정상적인 정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지금 이 체제로는 정상적인 정치발전이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단적인 예로 이번에 일어났던 미르, K스포츠 재단이라든지 우병우 사건이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소위 권력형 부패로 의심될만한 사건들을 두고 국정이 거의 멈추어져버리고, 나라가 혼란에 빠져 있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새누리당의 국감 보이콧 등 사태에 대해 “권력이라는 게 상식이 움직여야 하는데 지금 하는 것이 너무 상식이 아니지 않다”며 “지난 1주일 동안은 국회가 파업을 해놓고 노동자들이 파업하는 걸 욕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치가 발전이 안 되고 이런 모든 것들이 권력 독점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