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동맹국 10여개국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에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VOA에 따르면 몽골은 안보리 결의 이행차원에서 북한 선박 14척의 등록을 취소했고, 베트남은 제재 대상인 북한 외교관을 사실상 추방했다.
아프리카에서는 북한과 군사분야 협력을 중단한 나라가 속속 생겨났다. 남아공은 유엔에 제출한 이행보고서를 통해 북한과의 무기거래와 군사분야 협력을 단절했다고 밝혔다. 우간다도 북한으로부터 제공받던 군사훈련을 끊었다.
앙골라는 외교관을 포함한 북한 국적자 2명의 신상을 공개하면서 이들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콩고민주공화국은 한국 정부 관계자를 만나 안보리 제재 결의에 대한 충실한 이행 의지를 확인했다.
북한 노동자 입국을 거부하는 나라도 늘고 있다. 지중해의 몰타는 북한 노동자의 비자 연장을 중단하고, 신규 비자 허가를 금지했다. 폴란드도 북한 노동자 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싱가포르는 북한을 비자 면제 대상국에서 제외했다. 일부 언론은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북한 핵 실험을 이유로 자국 내 북한 대사관을 폐쇄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유일한 항공사인 고려항공은 전 세계적으로 고립되고 있다. 파키스탄은 지난달부터 고려항공의 착륙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태국 정부는 각료회의를 열어 고려항공 취항 여부를 논의하는 등 압박을 가해 방콕 노선을 폐쇄시켰다.
때문에 고려항공에 이착륙을 허용하는 나라는 중국 러시아 쿠웨이트 3개국으로 줄었다. 라오스와 이집트 등 북한과 가까웠던 나라들도 대북 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전 세계의 대북 압박 분위기가 예전보다 강화되고 있다고 VOA는 전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상원 청문회에서 “김정은이 안보와 경제적 이익, 외교적 지위를 잃었고, 정치적 이득을 취하는 데도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