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년간 이어진 상지대 학내분규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교육부가 김문기 전 총장 측 인사들로 채워진 구재단 이사장 9명 전원에게 임원취임승인취소를 통보했기 때문이다. 이번 결과가 확정되면 2010년 구재단의 이사회 장악과 김 전 총장의 복귀로 시작된 학내분규가 매듭지어진다.
상지대 교수협의회와 총학생회, 대학노조상지대지부는 29일 강원도 원주 대학 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는 관련 절차를 거쳐 구재단 이사들의 취임승인을 취소하고 신속하게 임시이사를 선임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상지대 정상화와 발전을 위해 김문기 측 인사가 임시이사 선임에 참여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임시이사는 구성원의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공익적인 인사들로 구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지대 교수협의회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3일 상지대에 임원취임승인취소 등을 포함한 감사처분 결과를 통보했다.
감사결과를 보면 교육부는 김 전 총장이 총장으로 복귀하면서 혼란이 발생하자 대학 측에 재정적 문제 해결 등 대학정상화 방안을 요구했으나 어떠한 사항도 이행하지 않았다. 대학 보직자들은 해임된 김 전 총장에게 정기적으로 주요현안을 보고하고, 해임된 총장이 협약을 체결하는 등 부당하게 학사운영에 개입했다. 이와 함께 교육용 기본재산 토지보상금 목적 외 사용, 법인업무담당 직원인건비 집행 부적정, 신규채용 전임교원 직급 부당 부여 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임시이사 선임까지는 재심청구와 이행기간, 청문회 등 절차가 남아있어 4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전 총장은 1993년 부정입학 혐의 등으로 구속되면서 상지학원 이사장에서 물러났으나 2014년 8월 ‘임시이사회의 정이사 선임 결의 무효소송’에서 승소, 총장으로 복귀했다.
김 전 총장의 복귀 이후 학내분규가 계속되자 교육부는 지난달 8일부터 26일까지 상지대 학교운영전반과 김 전 총장을 포함한 이사회를 상대로 특별감사를 실시했다.
‘상지대 임용취임 승인 취소 처분’ 관련 정정보도문
본지는 지난 9월 29일자 사회면에 “6년 끈 ‘상지대 사태’ 마무리되나… 교육부, 이사 전원 임원취임 승인 취소 통보”라는 제목으로 교육부가 상지대 이사 9명 전원에게 임원취임승인취소를 통보하였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현재 교육부는 학교법인 상지학원에 이사 9명에 대해 임원취임승인 취소처분을 통보한 사실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해당기사를 바로 잡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6년 끈 상지대 사태’ 마무리 되나…교육부, 이사 전원 임원취임 승인취소 통보
입력 2016-11-09 14:57 수정 2016-11-11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