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9.6%,김재수 자진사퇴해야” 사퇴 불필요 25.1%

입력 2016-09-29 13:49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 처리에 ‘적절한 조치’라는 여론과 ‘부적절한 조치다’라는 여론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일경제·MBN ‘레이더P’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김재수 장관 해임안 처리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적절한 조치다’라는 의견이 36.9%로, ‘부적절한 조치다’라는 의견(34.8%)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잘모름’은 28.3%.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적절 53.2% vs 부적절 22.5%)에서 해임안 처리가 ‘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많은 반면, 경기·인천(적절 38.4% vs 부적절 36.6%)과 서울(37.6% vs 31.9%), 부산·경남·울산(33.3% vs 38.3%), 대전·충청·세종(31.7% vs 36.1%), 대구·경북(31.6% vs 34.1%)에서는 오차범위 내에서 양 의견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적절 48.5% vs 부적절 26.0%)와 50대(45.9% vs 37.3%), 30대(36.7% vs 22.7%)에서는 ‘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많은 반면, 60대 이상(적절 29.1% vs 부적절 51.2%)과 20대(23.4% vs 32.8%)에서는 ‘부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적절 60.2% vs 부적절 13.7%)과 국민의당 지지층(56.5% vs 25.5%), 정의당 지지층(53.0% vs 20.3%)에서는 해임안 처리에 ‘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새누리당 지지층(적절 14.0% vs 부적절 63.9%)에서는 ‘부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다수였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적절 51.9% vs 부적절 25.3%)과 중도층(42.8% vs 33.1%)에서는 ‘적절한 조치다’의견이 많은 반면, 보수층(적절 23.3% vs 부적절 59.3%)에서는 ‘부적절한 조치다’의 의견이 우세했다.

김재수 60대 이상 장관의 향후 거취에 대한 조사에서는 ‘해임안이 통과된 만큼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49.6%로, ‘의혹이 소명되었으므로 사퇴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25.1%)보다 24.5%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모름’은 25.3%.

향후 거취에 ‘자진 사퇴’의 의견은 모든 지역에서 높았는데, 특히 광주·전라(자진 사퇴 66.0% vs 사퇴 불필요 11.9%)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서울(51.5% vs 18.3%), 경기·인천(50.2% vs 26.9%), 대전·충청·세종(46.8% vs 22.9%), 부산·경남·울산(45.9% vs 33.6%), 대구·경북(37.4% vs 29.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자진 사퇴 63.5% vs 사퇴 불필요 14.4%), 50대(58.2% vs 30.0%), 30대(50.6% vs 15.1%), 20대(39.3% vs 13.1%), 지지정당별로는 국민의당 지지층(73.3% vs 9.1%), 더불어민주당 지지층(69.9% vs 8.1%),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64.9% vs 13.0%)과 중도층(56.6% vs 20.0%)에서 ‘자진 사퇴’ 의견이 대다수로 조사됐다.

반면 60대 이상(자진 사퇴 37.0% vs 사퇴 불필요 47.2%)과 새누리당 지지층(23.7% vs 54.7%), 보수층(33.7% vs 54.0%)에서는 ‘사퇴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9월 27일과 28일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성인 95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앱(41%), 유선(25%)·무선(34%) 자동응답 혼용 방식으로 무선전화(75%)와 유선전화(25%) 병행 임의전화걸기(RDD, random digit dialing) 및 임의스마트폰알림(RDSP, random digit smartphone-pushing)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7.9%(총 통화 12,106명 중 958명 응답 완료)를 기록했다. 통계보정은 2016년 6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2%p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