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화재 등 각종 재난을 체험하고 행동요령을 배울 수 있는국민안전체험관이 확충된다. 실질적인 재난 체험이 가능한 중·대형 규모 체험관이 현재 37개에서 2020년까지 59개로 늘어난다.
국민안전처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소방안전교부세 총 680억원을 지원해 전국 8곳에 중·대형 및 특성화 국민안전체험관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1단계로 2019년까지 경기 오산시(대형), 울산 북구(특성화), 경남 합천(중형), 제주 애월읍(중형) 등 4곳에 체험관이 들어선다. 이어 2단계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 도봉구(대형), 광주 북구(대형), 인천 서구(특성화), 충북 청주(중형) 등에 체험관이 건립된다.
대형 체험관은 체험실 전용면적 1500㎡이상에 6개 이상 체험존이 설치된 시설이며 중형 체험관은 체험실 전용면적 900~1500㎡에 3~5개 체험존이 설치된 시설이다. 특성화 체험관은 체험실 전용면적 1500㎡이상에 해양·항공·산업 등 특정분야 체험존이 설치된 곳이다.
안저처는 소방안전교부세를 활용해 대형 및 특성화 체험관에는 100억원, 중형 체험관에는 60억원 한도로 총 사업비의 50%를 지원할 예정이다.
새로 건립되는 국민안전체험관에서는 지진 상황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또 지진 발생시 알아야할 행동요령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8개 안전체험관이 건립되면 연간 약 104만명의 어린이, 학생, 학부모들에게 각종 재난에 대한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안전처는 설명했다.
안전처는 지난 1~6월 가천대 산학협력단과 작업해 규모별 국민안전체험관 건립 표준모델을 마련했으며 새로 건립되거나 증축되는 안전체험관은 이 기준을 준수하도록 권장하기로 했다.
안전처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안전체험관은 소규모까지 포함해 155개다. 이 가운데 어린이·학생 등에 대한 실질적인 안전체험교육이 가능한 중·대형 및 특성화 체험관은 37개다.
안전처와 별도로 교육부와 해양수산부도 전국에서 2019년 5월까지 순차 완공을 목표로 14개의 중·대형 및 특성화 안전체험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어 이것까지 포함하면 2020년에는 중·대형 및 특성화 안전체험관은 총 59개로 늘어나게 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