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북한 석탄수출 전면차단 논의 중”

입력 2016-09-29 07:26 수정 2016-09-29 09:19
미국 국무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석탄수출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정부는 또 중국의 랴오닝훙샹그룹 외에 다른 중국 기업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물자를 거래한 혐의를 잡고 조사를 확대하고 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차관보(사진)는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석탄수출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증언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3월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면서 북한의 석탄수출을 제한하면서도 민생 목적의 수출은 예외적으로 허용했다. 그러나 새로운 대북제재안에는 예외조항을 없애 석탄수출을 전면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러셀 차관보는 또 북한의 해외노동자 송금을 차단하고, 나아가 북한 노동자 고용을 억제하도록 각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니얼 프리드 국무부 제재담당 조정관도 같은 청문회에서 “국무부와 재무부 당국자들이 여러 나라 정부에 협조 요청을 하고 있고, 북한 해외노동자가 많이 파견된 중국과 러시아 정부도 설득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프리드 조정관은 또 “(훙샹그룹을 제외한) 다른 중국 기업도 추가로 조사하는가”라는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의 질문에 “반박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프리드 조정관은 그러나 구체적인 중국 기업의 이름과 조사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프리드 조정관은 “북한과 금지물자를 교역한 사실이 드러나면 해당 국가나 기업을 제재하는 데 미 행정부 차원의 제한은 전혀 없다”면서 “증거가 따라 움직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미 재무부는 지난 26일 중국 기업 단둥훙샹실업발전과 모기업인 랴오닝훙샹그룹의 창업자와 대주주 4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프리드 조정관은 미 정부가 중국 기업을 제재하는 것은 “미국 정부가 진지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이번 제재를 계기로 중국 정부가 북한과 거래하는 기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