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은 28일 전국 65곳의 생태·경관보전지역, 특정도서, 해안사구, 무인도서 등에 대한 ‘2015년도 특정지역 생태계 정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실시한 정밀조사는 경북 청도군 운문산, 전남 고흥군 거금도 적대봉, 충남 서산 태안과 전남 보성 권역 내의 특정도서 11곳, 무인도서 50곳, 해안사구인 강원도 강릉 송정사구와 삼척의 맹방사구 2곳 등 총 65곳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운문산에는 새롭게 발견된 210종의 생물을 포함해 식물 369종, 조류 38종(멸종위기 야생생물 1종 포함), 포유류 27종(멸종위기 야생생물 4종 포함), 양서 파충류 15종, 곤충 546종, 담수어류 8종, 저서성무척추동물 73종 등 1076종의 생물종이 서식 중인 것을 확인했다.
또 적대봉에는 새롭게 발견된 449종의 생물종을 포함해 식물 261종, 조류 62종(멸종위기 야생생물 5종 포함), 포유류 11종(멸종위기 야생생물 2종 포함), 양서 파충류 5종, 곤충 367종, 담수어류 3종, 저서성무척추동물 50종 등 759종의 생물종이 조사됐다.
충남 서산·태안과 전남 보성 권역 내의 특정도서 11곳에 대한 조사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3종(노랑부리백로, 매, 수달), Ⅱ급 6종(수리부엉이, 검은머리물떼새, 섬개개비, 물수리, 구렁이, 흰발농게)이 발견됐다.
이 밖에도 송정사구에는 404종의 동·식물이, 맹방사구에는 동·식물 425종이 서식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