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 대출금액이 4년 만에 50% 넘게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대부중개업 등록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전체 대부잔액은 13조2600억원(15년말 기준)으로 4년 전 8조7000억원(12년)에 비해 4조5600억원(52%) 늘었다.
신규 대부업체 등록건수(본점+지점포함)는 2012년 연간 75개소에서 2016년 9월 현재 3285개소로 늘어났다. 등록기준 지역별로는 서울이 3765개소로 전체의 약 40%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1848) 부산(780) 인천(528) 대전(419) 대구(399)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등록 대부업자 및 대부중개업자는 2012년 1만895곳에서 지난해 8752곳으로 2143곳(19.7%) 감소했다.
대출유형별로는 생계형 대출이 가장 많았다. 한국대부금융협회가 발표한 ‘국내외 서민금융 이용행태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대부업 대출자금 중 가계생활자금 비중은 62%로 2012년(55%)보다 7%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30대의 이용비중은 줄었지만 직장인과 4~50대의 생계형 대출이 증가했다. 소득이 낮거나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대부업 이용률이 높았다. 대부업체의 법정최고금리는 27.9%로 7월말 기준 시중은행 가계대출(2.96%)보다 10배가량 높다.
금융당국과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관리•감독되는 등록대부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미등록 대부업체 신고건수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는 올해 말까지 미등록대부업체 신고건수가 지난해(1220건)보다 2배가량(2008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의원은 “음지에서 영업하고 있는 미등록 대부업체를 양지로 끌어내는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미등록대부업체 적발을 위해 포상금 지급 등 유인책을 쓰는 한편 대부업체에서 생계형 대출자금이 늘고 있는만큼 저신용자를 구제하기 위한 서민금융정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며 “가계부채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대부중개실적을 모든 업소가 분기별로 제출하는 것을 의무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불경기에…무섭게 늘어난 대부업체 대출금
입력 2016-09-27 10:16 수정 2016-09-27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