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서울’ 2040년 서울인구 916만명, 중위연령 52세

입력 2016-09-26 16:12
2040년 서울의 인구구성.

1992년 1093만5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로 돌아선 서울 인구가 2040년에는 916만명대까지 쪼그라들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급격히 주는 인구절벽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주소비연령대인 40대 후반 인구도 감소해 소비가 급감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연구센터장은 27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의 미래 서울의 선택’을 주제로 열리는 서울연구원개원기념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전망을 발표한다.

 통계청과 서울시 자료 등은 분석한 ‘미리 가 본 2040년 서울'이란 발제문에 따르면 현재 1000만명을 약간 밑도는 서울 인구는 2020년 980만명, 2030년 960만명으로 줄고 2040년에는 1980년대 초반 수준인 916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서울의 인구 감소는 자연 인구감소에, 높은 주거비 부담 등으로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다른 지역으로 인구가 유출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생산가능인구는 현재 750만명에서 545만명으로 준다. 소비를 주도하는 45∼49세 인구도 80만명에서 64만2000명으로 감소한다.
 인구는 급격히 고령화돼 60세 이상이 37.3%까지 늘어나고 20대 이하는 24.0%로 줄어든다. 

 전체 410만 가구 중 1인 가구는 30%, 부부 가구는 32%로 1∼2인 가구가 전체의 60%이상으로 늘어난다.부부와 자녀로 이뤄진 가구는 23.6%로 줄어든다. 
 가임여성(20∼39세)은 현재 150만명에서 96만명 수준으로 급감하고 모든 인구를 줄을 세웠을 때 가운데 사람의 나이인 중위연령은 52세로 올라가게 된다.

 변 센터장은 2040년 서울을 지배할 이슈들로 초고령사회, 세대·계층 갈등의 심화, 도시정치, 가치의 혼란시대 등을 꼽았다. 서울시민을 대표하는 4가지 유형으로는 소셜족(Social Tribe), 노마딩글(Nomadingle), 미 그레이 시니어(Me Gray Senior), 패시브 실버(Passive Silver)를 제시했다.

 소셜족은 사회구조적인 문제와 불안감을 공동체 속에서 해결하고 공동의 힘으로 세상을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진 새로운 부족이다. 노마딩글은 현재의 만족마을 위해 살아가는 자기소비적인 집단으로 서울 인구의 3분1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 그레이 시니어는 건강한 신체, 경제적 안정을 바타응로 시간적 여유를 즐기며 자기 중심적인 삶을 살아가는 적극적인 세대다. 패시브 실버는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가족을 위해 희생했지만 경제력이 약하고 세대간 단절로 인한 소외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비자발적 고립자들이다.
 
서울의 가구구성.

서울연구원의 장종남 연구위원과 양재섭 도시공간연구실장은 ‘미래 서울의 도전과 선택’이란 발제문에서 2040년 서울의 평균기온이 지금보다 3.4도 오르고 열대야나 폭염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 연구위원 등은 “고령화, 시가지 노후화에 대응해 사람·주택·지역을 통합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동남권뿐아니라 동북·서북·서남권까지 포함하는 ‘4가지 엔진’으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