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광복절 특별사면을 계기로 건설업계가 출연을 약속했던 사회공헌기금 2000억원 가운데 실제 출연액은 목표액의 2% 남짓인 47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실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들은 정부가 지난해 광복절 특별사면을 통해 담합 처분 건설사의 관급공사 입찰참가제한 등을 해제하자 2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기금 조성을 약속했다. 이후 지난해 12월 74개 건설사가 참여해 건설산업사회공헌재단도 설립했다.
그러나 모금액수는 47억원에 그친다. 액수별로 보면 삼성물산 10억원, 현대건설 20억원, 대림산업 GS건설 포스코건설 3억원, SK건설과 현대산업개발 2억원 등이다. 대우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은 아예 한푼도 내지 않았다.
이 가운데 집행된 금액은 '주거취약계층 집고치기 사업' 800만원과 '여성취약계층 주거개선사업' 1억7000만원 등 1억7800만원이 전부인 상황이다.
재단 측은 모금실적이 저조한 것에 대해 건설업계의 과징금 규모가 크고, 담합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 진행 중이어서 당장 전액을 출연하기 힘들다는 점을 들고 있는 상황이다. 윤 의원은 "특사 1년이 지났지만 건설사들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며 "건설사들의 출연금 약속 이행과 추가 담합 발생 방지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