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박사학위 미군정시대 지역신문고찰, 김영란법 시행앞두고 눈길

입력 2016-09-26 10:51
한겨레신문 김영환 기자가 인하대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신문방송 전공)에서 지난 8월 박사학위논문으로 쓴 ‘미군정 시대의 지역신문 성격과 이념적 성향에 관한 연구’가 김영란법 시행을 앞두고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인하대에 따르면 김 박사는 ‘미군정 시대의 지역 신문 성격과 이념적 성향에 관한 연구:대중일보와 인천신문을 중심으로’라는 박사논문을 통해 “시설도 종이도 없었던 시기에 신문 창간이 봇물을 이룬 것은 국민들이 언론 자유에 대해 그만큼 목말라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김 박사는 대중일보가 1945년 11월 23일과 12월 1일 각각 복간된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앞서 그해 10월 7일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한 것은 해방공간에서 인천지역이 차지하는 여러 환경들과 시민들의 욕구가 절실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인천지역은 일제의 언론정책에 의해 1940년 8월 이후 일본말로 된 신문마저 발행이 중단돼 해방공간에서 대중일보와 인천시문(1946년 3월 1일 창간)이 창간되기 전 때까지 지역언론이 없었다.

김 박사는 “해방이 되자 조봉암과 같은 정치인들이 정치를 재개하고, 외국에서 독립운동을 해 온 인사들이 귀국하는 길목이었던 인천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주목받는 도시였다”며 “이런 지역특성이 신문창간의 배경이 됐다”고 설명했다.

대중일보는 1945년 창간사에서 ‘언론의 사명과 역할을 다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에서 1946년 1월 연두사에서는 진보적 가치 실현을 명확히 표현했다.
 
그러나 대중일보는 1946년을 기점으로 보수적 성향이 나타나 1950년에는 우익성향이 고착화된다.

김 박사는 “한국에 주둔한 미군정의 우익 중심 정책이 대중일보의 논조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인천신문은 창간사에서 “3월 1일에 창간한 것은 3·1운동의 영웅적인 정신을 지면에 실려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최대 선전자이고 최대 계몽자로서 사명을 완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했다.

김 박사는 “대중일보의 창간 주역들이 신문의 정체성을 놓고 경영진들과 입장 차이로 신문사를 떠나 새로운 신문(인천신문)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인천신문은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1948년 3월 대표를 바꾸고 좌익성향의 신문 논조를 탈피했지만 6·25 전쟁으로 자연 폐간됐다.

김 박사는 “두 신문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에서 우리말로 된 첫 일간지인 점을 감안하면 언론사적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오는 28일부터 시행되는 김영란법이 언론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