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시철도 파업을 앞두고 부산교통공사가 비상운영체제 가동에 들어갔다.
부산교통공사는 노조가 성과연봉제 반대를 위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공동파업에 참여하기 위해 27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것을 예고함에 따라 사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본부를 구성, 분야별 대응에 나섰다고 26일 밝혔다.
공사는 먼저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용한 인력을 총동원해 열차운행률 제고에 나선다. 비상운전요원 94명을 투입해 출·퇴근시간대는 평소와 동일하게 100% 정상운행하고, 기타시간대는 70% 수준으로 운행해 열차운행률을 평균 85.2%까지 올리기로 했다. 무인운전인 4호선은 파업과 관계없이 정상 운행된다.
각 역에는 비조합원을 중심으로 도시철도 보안관, 사회복무요원 등의 지원인력을 배치해 고객서비스 제공에 나서고, 전기·신호·통신·차량 등 각 기술분야에는 필수유지인력 외 외부지원인력을 배치해 파업기간 도시철도 안전운영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공사는 이를 위해 필수유지인력 959명과 비조합원 등 자체 인력 492명, 협력업체 등 외부인력 874명 등 총 2,325명을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공사는 노조에서 성과연봉제 저지를 목적으로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연계해 파업에 나서는 것은 명백한 불법으로 보고, 노조에 파업 철회를 거듭 촉구했다.
박종흠 사장은 “부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신청에 따라 10월 6일까지 일체의 쟁의행위가 금지되어 있는 만큼 임단협이 아닌 성과연봉제 저지를 목적으로 한 이번 파업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지난 6년간 무분규로 만들어진 상생의 노사관계를 한순간에 무너뜨리고 막대한 시민불편을 초래할 이번 파업을 철회할 것을 다시 한 번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임단협 결렬로 합법적 쟁의권을 얻었다”며 “상생의 노사관계를 무너뜨리는 측은 사측”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지하철, 27일 파업 앞두고 비상운영체제 가동
입력 2016-09-26 0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