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8%, 자체 핵무기 보유 찬성” 34% 반대

입력 2016-09-25 09:42

한국갤럽이 9월 20~22일 전국 성인 1010명에게 5차 북핵실험의 한반도 평화 위협 정도를 물은 결과 '매우 위협적' 53%, '약간 위협적' 22% 등 75%가 위협적이라고 인식했다. '별로 위협적이지 않다'는 17%, '전혀 위협적이지 않다'는 3%였으며 6%는 의견을 유보했다.

 북한의 핵실험이 한반도 평화에 '위협적'이라는 응답은 올해 1월 4차 핵실험 직후에 비해 14%포인트 증가한 것이며, 이는 2013년 3차 핵실험 직후와 비슷한 수준이다. 3~4년이었던 1~4차 북핵실험 주기가 이번에는 8개월로 짧아졌고, 박 대통령이 연일 안보 위기를 강조하는 등의 상황이 우려를 더한 결과로 보인다. 1차 북핵실험 시기는 2006년 10월 9일, 2차는 2009년 5월 25일이다.

 우리나라도 핵무기를 보유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찬반을 물은 결과 58%가 '찬성', 34%는 '반대'했으며 7%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55%가 핵무기 보유에 반대했고, 30대는 찬반이 팽팽하게 갈렸으며 40대는 찬성(51%)이 반대(40%)를 약간 앞섰다. 50대 이상은 약 75%가 찬성 입장으로, 올해 1월 4차 북핵실험 직후보다 더 강화됐지만 40대 이하의 찬반 경향은 달라지지 않았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과 국민의당 지지층은 각각 75%, 58%가 핵무기 보유에 찬성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찬성 50%-반대 46%로 찬반이 엇비슷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51%가 찬성, 35%가 반대했다.

  우리 국민 40%는 북한이 요청할 경우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해야 한다'고 답했지만 55%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며 5%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와 40대는 지원 찬반이 갈렸고, 다른 연령대에서는 지원 반대가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지지층은 70%가 지원을 반대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57%가 인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봤으며 국민의당 지지층은 찬반이 갈렸다. 무당층은 '지원해야 한다' 32%,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 58%였다.

 거듭된 핵실험과 합의 파기 등 북한의 태도는 인도적 지원 입장마저 철회할 정도로 우리 국민의 대북 감정 악화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개성공단 가동 중단 직후인 올해 2월 조사에서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모든 대북 지원 중단' 55%, '인도적 지원은 유지' 35%였다. 3차 핵실험 직후인 2013년 동일 질문을 했을 때는 '모든 대북 지원 중단' 46%, '인도적 대북 지원 유지' 47%로 의견이 양분됐었다.

 한편 2014년 2월과 10월 세 차례 조사에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80%를 넘어, 우리 국민 대다수는 북핵 문제 해결을 요원한 일로 여겼다. 또한 2015년 8.25 남북 합의 직후 조사에서는 69%가 북한이 합의 내용을 잘 지키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23%(총 통화 4,378명 중 1,010명 응답 완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