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 떴다

입력 2016-09-22 13:52
서해5도 주민들과 인천지역 시민사회 관계자들로 구성된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가 22일 발족됐다.


 이들은 지난 6월 연평도 어민들의 중국불법어선 나포로 불법조업 문제의 심각성이 널리 알려진 이후 서해5도가 국민적인 관심 대상으로 떠올랐으나 대책 마련이 미흡하다는 판단에 따라 공동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서해5도의 문제는 섬에 살고 있는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분단된 나라의 현실에서 인천시민과 국민들이 겪어야할 어려움과 고통을 겪고 있는 인천지역의 시민사회가 서해5도 주민들과 함께 ‘서해5도 생존과 평화를 위한 인천시민대책위원회’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서해5도 주민들은 각 정당의 정치인들과 중앙정부 고위 공직자, 인천시장 등 많은 사람들이 서해5도를 찾아 불법조업 문제 해결과 서해5도 주민들의 안정적인 삶에 대해 수많은 약속을 했으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정부가 약속한 불법조업 대책마련도, 정치권에서 주장한 남북공동어로구역 지정도. 인천시장이 약속한 남북수산물경협과 민관협의체도 공허한 빈말로 끝났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이제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으로 인해 서해5도 주민들의 삶은 피폐해진 수준을 넘어 생존권마저 위협을 받고 있는 절박한 상황”이리며 “설상가상으로 남북한 갈등 고조와 한반도의 군사적 불안정으로 서해5도에 분쟁 위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가 서해5도 주민들의 어업에 꼭 필요한 어업지도선 운영비 지원 중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또 연평도 포격이후 서해5도를 지원하기 위해 옹진군에 만들어진 ‘서해5도 특별지원단’이 행정자치부 규정으로 인해 올해 연말에 해체될 위기에 놓여 있어 어민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어민들은 최근 3년간 우리 수역 중국어선 조업현황 분석결과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불법조업을 일삼는 중국어선이 65% 급증하고 있는 반면 해경의 검거실적은 38% 감소해 제대로 된 단속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서해5도 주민들의 생존을 위한 대책마련과 중국불법어선 문제 해결과 서해 평화 바다 만들기에 인천시민들이 국민들과 함께 앞장 설 것”이라고 다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