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방사선 노출 가장 많은 영상 진단장비는 CT(단층촬영장치)지만 병원을 찾는 환자 45%는 ‘MRI(자기공명영상장비)’라고 답하는 등 영상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이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병원 영상의학과를 찾는 환자 절반 가까이가 과도한 영상 검사를 받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한영상의학회(회장 김승협 서울대병원 교수)와 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직무대행 김길원)는 지난 7월부터 2개월간 국내 대학병원 3곳과 1개 중소병원을 찾은 20대 이상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병원에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려면 ‘영상의학과(옛 진단방사선과)’를 꼭 거쳐야 하지만 정작 영상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도와 신뢰도는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의료용 방사선이 위험하다’거나 ‘위험하지만 어쩔 수 없다’는 응답이 각각 6%, 55%에 달했다.
환자들이 영상진단 방비를 불안해 하는 것은 의료진의 사전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이번 조사에서도 의료용 방사선 피폭의 안전성에 대해 57%가 ‘설명을 들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환자들은 영상 검사를 받는 과정에서의 불편함도 호소했다. 가장 불편한 점으로 ‘긴 대기시간(39명)’이 꼽혔고 ‘검사 뒤 결과 설명이 없다(18명)’, ‘검사 방식에 대한 설명이 없다(12명)’, ‘검사를 왜 하는지 설명이 없다(11명)’ 등을 꼽은 환자도 많았다.
영상의학과의 중복 및 과잉검사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검사를 한두번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45%로 절반 가까이나 됐다. 또 중복 검사를 받을 때 ‘중복 검사를 왜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못 받았다(37%)’거나 ‘받았더라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힘들다(30%’고 답해 충분한 의사 소통이 이뤄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충분한 설명을 들었고 이해한다’는 응답은 8%에 불과했다.
영상의학회와 과학기자협회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23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영상검사 대국민 인식개선’ 토론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김승협 대한영상의학회장은 “앞으로 영상의학과에 대해 국민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활동을 더 열심히 할 계획”이라면서 “각 병원에서도 영상 검사 시에 친절한 설명과 안전한 검사를 시행하도록 의료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