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재단법인 미르·K스포츠재단의 박근혜 정권 실세 개입 의혹에 대해 "정치권이 대기업들 돈을 뜯어먹고 살던 시절, 바로 독재의 부정부패가 민주화돼 사라졌다 생각했는데 어떻게 박근혜정권에서 이런 일이 부활했는지 참으로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기업의 목을 비틀어서 강제로 모금하게 한 역사, 소위 정경유착의 역사를 극복하기 위해 수없이 법을 바꾸고 세상을 바꿨고 준조세라는 말이 사라졌다"라고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전두환 대통령 때 장세동(전 안기부장)이 정주영 회장의 무르팍을 시쳇말로 까면서 100억, 200억씩 모금하던 시절이 있었다. 노태우 대통령이 퇴임하고 비자금이 수천억 조단위를 넘어 망신을 당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돈을 냈다는 게 장세동의 말이었는데 어느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수백억씩 내나"라고 했다.
우 원내대표는 "(미르·K스포츠재단의) 모금과정에 누가 어떤 방식으로 개입해 목을 비틀었는지 비리를 밝히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바로 설 수 없다"라고 했다.
이어 "모금액수를 보니 대기업별로 과거 전두환·노태우처럼 기업 규모별로 퍼센트를 정해서 모금했다. 누가 어떤 방식으로 관여했고 대기업은 왜 내고 싶지 않은 돈 냈는지가 사건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