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심각하게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은 우리나라 사회 시스템의 경직성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2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빌딩에서 열린 국민미래포럼에서 김 원장은 기조 강연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과제를 설명했다.
김 원장은 강연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3D프린터, 로봇, 유전자 조작 등 신기술의 획기적 발전으로 생산, 고용체제, 산업형태, 수급시스템, 국제분업구조 등이 바뀌고 디지털에 기반한 모바일 연결사회가 심화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했다.
김 원장은 미국, 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적극 대응하고 있지만 한국은 대응 수준이 주요 국가 중 25위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경직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정태적 사고(Statics)로는 급변하는 세계 경제의 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며 “동태적 사고(Dynamics)로 우리의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가의 의사 결정속도를 좀 더 신속하게 하고, 입법·사법·행정부가 수평적으로 협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제4차 산업혁명, 도약의 길-ICT와 금융·제조업 융복합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국민미래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개인과 국가가 가져야할 태도를 제시하는 토론이 활발히 오갔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