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실질적인 지진 매뉴얼 만든다

입력 2016-09-21 10:49 수정 2016-09-21 16:32
최근 강진으로 지진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가 실질적인 지진 대책 매뉴얼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이달 중으로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 만들어 지역 상황에 맞는 중·단기 지진대책 마련한다고 21일 밝혔다.

 대구시는 지진 전문가 자문단에 지구환경·지질학, 재난안전 분야 교수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 20여명을 참여시킬 예정이다. 자문단은 기술분과와 제도분과로 나눠 운영한다. 

 자문단은 다음달 부터 연말까지 활동한다. 회의를 통해 지진발생 시 대피요령과 시설 보강 대책 등 지진 대책을 원점에서 논의한다. 대구시는 또 시정 처음으로 별도의 지진예산을 마련해 내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지진·화산재해 대책법에 따라 지역 8개 구·군 조례로 구성하기로 돼 있는 ‘지진피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단’도 지원하기로 했다. 각 구·군은 이번 강진 후 피해 접수된 건축물 등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45년까지 완료하기로 한 ‘대구 공공시설물 내진설계 및 보강계획’도 일정을 앞당겨 2025년까지 모두 마무리할 방침이다. 건물, 도로, 병원 등 대구지역 공공시설물 1358곳 중 현재까지 내진설계가 완료됐거나 조사 후 양호 판정을 받은 시설은 649곳이다. 나머지 보강이 필요한 시설 709곳에는 3500억원을 투입해 보강 작업을 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진 피해가 현실로 다가왔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게 됐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지진 대책을 새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