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경보 ‘한국 15분 vs 일본 10초’… 내진설계도 미흡

입력 2016-09-21 08:21
우리나라도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21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국민안전기술포럼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진 활동이 중·저 수준이지만 인구 고밀도, 도시화, 난개발, 내진설계 미비 등으로 지진재해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지질자원연구원은 “큰 규모의 본진이 발생한 후 본진과 유사한 규모의 여진이 광범위하게 발생하면 이로 인한 피해는 본진보다 크게 증가할 수 있다”면서 “지진재해 대비 시스템 확대 등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 지역에서 기상청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5.8 강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 동안 400여 차례의 여진이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다행히 지난 19일 오후 8시33분쯤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5 여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진동을 감지한 국민들은 불안감에 밤잠을 설쳐야 했다.

 현재 과학기술로는 지진에 대한 단기 예측이 불가능하다. 지진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최선의 방법은 최단 시간 내에 정확한 정보에 기초한 초동대처다.

 일본의 경우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10초 이내에 조기 경보 시스템을 가동해 신속 대응하고 있다. 지진이 빈발하는 대만, 이탈리아, 미국 서부 등도 마찬가지다. 세계 각국이 지진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진 조기경보 및 지진신속대응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오는 2020년까지 지진 발생 후 10초 이내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 대처 능력이 선진국에 한참 못 미치는 상황에서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미지수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후 50초 이내에 경보 발령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경주 지진 당시 국가안전처의 늑장대응으로 긴급재난문자가 국민들에게 보내지기까지 본진 8분과 여진 15분이 각각 소요됐다.

기 상청의 지진 대처 능력도 아쉽다. 국내 유일의 ‘지진정보 알리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운영 중이면서도 경주 지진 발생 당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앱을 사용하면 알림 기능이 늦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 같다”면서 “보통은 지진 발생 1~2분 내에 알림 기능이 작동하는데 이번엔 상황이 달랐다”고 해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상청도 일본처럼 지진 정보를 외부에 실시간 공개할 수 있다. 그러면 지금보다 신속하게 경보 발령을 할 수 있다”면서 “이미 정부기관은 기상청으로부터 실시간 분석결과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