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최호천 교수팀과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서영균(사진 왼쪽부터) 교수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세 이상 성인 2만5744명을 대상으로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뇌졸중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비만보다 대사증후군이 뇌졸중 발병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비만하지 않은 40세 이상 여성 중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과 같은 다른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뇌졸중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겉으로 보이는 비만보다 속살이 찐 형태의 마른 대사증후군 환자들이 뇌졸중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뜻이다.
조사 대상자 중 40세 이상 여성은 총 1만5098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단순비만(MHO)은 1867명(12.4%), 비만 외 다른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MONW)은 2623명(17.4%)이었다.
조비룡 교수는 "체중과 체질량지수에만 너무 신경쓰지 말고, 정상 체중이라 하더라도 평소 기본적인 검진으로 뇌졸중 위험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