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은 많은 생명을 살리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다.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봉합자국으로 인한 흉터를 남길 수밖에 없다. 수술흉터는 관리를 잘해주어야 흔적을 적게 남길 수 있다.
상처로 인한 흉터처럼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는 스스로 호전이 되어 눈에 잘 띄지 않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제왕절개나 맹장수술, 교통사고, 갑상선수술 등은 큰 흉터를 남기기 쉽다. 이 경우 크고 깊게 남은 흉터는 아무리 관리를 잘해 준다고 해도 흔적이 남게 된다. 흉터는 눈에 띠는 색깔도 문제다. 피부색이 점차 붉어지면서 주변의 정상피부와 달리 두드러진다.
안성열 성형외과·피부과 전문의는 “외모 문제도 무시할 수 없지만 더 큰 문제는 정신적 측면에 있다”며 “사고 당시의 끔찍한 기억을 떠올리기 쉽고, 흉터를 가리며 대인관계에서의 소극성, 우울증 등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술흉터치료는 봉합흔적을 지워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기에 병원과 의료진의 전문성, 충분한 임상경험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수술 흉터는 튀어나온 정도, 표면의 굴곡 정도, 질감이나 색깔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그 정도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치료해야 한다. 안 원장에 따르면 특히 봉합자국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흉터제거수술을 이용한다. 수술 시 봉합에 가장 정성을 기울여야 하는데, 확대경을 이용해 해당 부위를 관찰하며 정밀하게 봉합해 흉터를 최소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흉터의 색을 연하게 만들기 위해선 레이저 시술을 병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점차 옅어지며 정상피부와 비슷해지게 된다. 안 원장은 “수술흉터치료는 되도록 빠른 시일 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수술 방법과 치료과정을 확실히 인지하고 치료에 나선다면 흉터에 의한 외모적,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전재우 기자
수술로 인한 흉터…최소화하기 위해선 정밀하게 치료 이뤄져야
입력 2016-09-19 1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