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수입된 일본 후쿠시마산 식품은 407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기간 동안 후쿠시마산 식품은 873회에 걸쳐 수입이 이뤄졌다. 품목별로 보면 수산물 가공품이 382회에 걸쳐 233t이 수입돼 가장 많이 수입됐다. 이어 혼합제제(51t), 캔디류(41t), 청주(33t), 기타식품첨가물(19t) 순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났던 2011년에 94t이 수입됐다가 2012년 64t으로 줄었다. 이후 2013년 63t, 2014년 61t, 2015년 69t 등을 기록하다 올해는 6월까지 54t이 수입됐다.
한국은 후쿠시마산 농산물 19개 품목과 사료, 수산물에 대해 수입을 중지하고 있어 나머지 가공품 등은 수입이 가능하다. 정부는 일본 정부의 방사능 검사증명서, 국내 검역 시 검사 등이 이뤄져 수입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국민의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식약처가 한국소비자연맹에 의뢰해 조사한 ‘방사능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사능이 불검출 돼도 일본산 수산물을 구매하지 않겠다는 응답자는 2014년(68.8%)과 2015년(67.6%) 모두 높게 나타났다.
최 의원은 후쿠시마는 여전히 방사능 유출로 접근조차 불가능한 지역이 존재하고 일본 다른 지역에서도 방사능 영향이 우려돼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 2011년부터 지난 7월 21일까지 검역 과정에서 미량의 방사능이 검출돼 일본으로 반송된 일본 식품은 187건, 197t으로 조사됐다. 최 의원은 “국민들이 원전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식품을 꼭 먹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식탁에 올라가는 먹거리 안전은 식약처가 강력한 의지와 단호한 입장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2011년 이후 일본 후쿠시마산 식품 407t 수입
입력 2016-09-19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