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논란 중인 금융·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도입에 대해 국민 10명중 6명은 근로자들과 충분한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금융·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도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근로자들과 충분한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61.0%로 대다수였고, ‘정부나 사업자 주도로 가능하면 빨리 도입해야 한다(14.3%)’는 응답과 ‘폐해가 많기에 도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13.0%)’ 응답이 소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름’은 11.7%.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응답이 우세했는데, 지역별로는 전북(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68.5%)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대전·충청·세종(64.2%), 부산·울산·경남(63.8%), 서울(61.2%), 경기·인천(60.8%), 광주·전남(57.6%), 대구·경북(54.9%)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70.9%)에서 ‘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응답이 70%를 상회했고, 이어 50대(62.8%), 60대 이상(61.7%), 30대(55.7%), 20대(51.4%)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가정주부(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66.7%)에서 ‘근로자와 충분한 협의 선행’ 응답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무직(64.5%), 은퇴자(62.5%), 학생(62.0%), 자영업자(60.1%), 노동직(55.2%) 순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성과연봉제 도입 과정과 관련해서는, ‘정부·사용자가 성과연봉제를 너무 성급하게 밀어붙이고 있다’는 주장에 ‘공감한다(매우 공감 21.5%, 다소 공감 41.4%)’는 응답이 62.9%로 ‘공감하지 않는다(거의 비공감 15.3%, 전혀 비공감 8.1%)’는 응답(23.4%)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잘 모름’은 13.7%
성과연봉제 도입 과정에서 근로자 동의가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 전체의 67.3%가 성과연봉제 도입이 ‘규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해당하므로 필요하다’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사회통념상 합리성 있기에 필요 없다“는 응답은 19.9%로 조사됐다. ‘잘 모름’은 12.8%
이번 조사는 8월 27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45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과 스마트폰앱(SPA) 혼용 방식으로 무선전화(85%)와 유선전화(15%) 병행 임의전화걸기(RDD, random digit dialing) 및 임의스마트폰알림(RDSP, random digit smartphone-pushing)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25.0%(총 통화시도 4,149명 중 1,045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p이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http://www.realmeter.net/category/pdf/)를 참조하면 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