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핵발전소 폐쇄” 환경단체 공식 요구

입력 2016-09-13 13:47
국내 최대규모의 지진 발생과 관련, 핵없는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참여단체들이 핵발전소가 위험하다며 노후핵발전소 폐쇄 및 신규 건설 중단을 요구해 귀추가 주목된다.
 
핵없는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참여단체들은 13일 “어제 오후 7시 44분과 8시 32분 경주에서 리히터 규모 5.1, 5.8가량의 지진이 연달아 발생한 뒤 밤새 여진이 179회까지 이어졌다”며 “기상청은 여진이 수일에서 수십일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발표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참여단체들은 “이번 지진은 국내 지진관측이래 가장 강력한 규모라는 점에서 불안감이 더욱 큰 상황”이라며 “문제는 이 지역이 월성핵발전소에서 불과 27㎞ 떨어진 곳이고, 고리핵발전소, 울진핵발전소 등 핵발전소 밀집지역이라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참여단체들은 또 “국내 핵발전소가 밀집된 지역에 활성단층이 집중돼 지진발생의 위험이 크고, 과소평가된 지진발생위험 평가와 활성단층조사 미비, 내진설계 취약 등으로 핵발전소가 위험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며 “국내 대부분의 핵발전소가 0.2g(리히터 규모 6.5)에 설계돼 있어 어제보다 더 강한 지진이 온다면 대처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핵발전소가 밀집해 있는 부산, 울산, 경주, 울진 등 한반도 역사 지진기록에서 큰규모의 지진이 계속해서 발생했던 지역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은 “한반도에서도 규모 7.45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다”며 “이 지역은 양산단층대, 울산단층대 등을 비롯한 크고 작은 활성단층이 집중돼 있어 지진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참여단체들은 “후쿠시마사고도 규모 7.9의 내진설계를 했지만, 예상치 못했던 9.0의 대지진에 참사를 피할 수 없었다”고 전제, “이제라도 위험신호를 제대로 받아들여 핵발전소 중심의 전력정책을 벗어나야 한다”고 요구했다.

참여단체들은 이어 “지진에 취약한 노후핵발전소를 폐쇄하고, 더 이상 신규 건설을 늘리지 않아야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참여단체들은 가동 중인 핵발전소를 순차적으로 중단하고 지진대비 평가 및 안전점검을 공개적으로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또 핵발전소 밀집지역의 활성단층 종합 조사 및 지진재해 분석을 실시할 것과 안전성 미비에도 불구하고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경주 월성1호기를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지진발생 위험 지역에 10개를 밀집해서 짓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공식 요구했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