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해마다 핵무기 7개를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미국의 원자력기술 전문가가 예상했다.
지그프리트 헤커 스탠퍼드대 연구교수는 12일(현지시간) 북한전문매체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은 현재 핵무기 20개를 만들 수 있는 고농축우라늄을 보유하고 있고, 해마다 7개씩 만들 수 있는 고농축우라늄을 추가 보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헤커 교수는 2010년 북한 영변의 핵무기 연구단지를 방문해 우라늄 농축에 쓰이는 원심분리기를 직접 목격했다.
그는 기고문에서 “북한이 올해 두 차례 성공한 핵실험을 통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5∼10년 안에 핵탄두를 장착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실전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헤커 교수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능력이 예상보다 커지면서 북한에서 핵무기 관련 사고가 발생하거나 북한 정권의 오판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동북아지역 안보구조가 극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헤커 교수는 북한이 핵물질이나 핵무기 관련 자산을 테러집단에 팔아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북한을 제재로 굴복시키거나 중국이 북한의 핵개발을 막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기다리는 일에 현실성이 없다는 점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통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