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정보, 국민행동 요령 등을 제공하는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재난 발생시 홈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12일 저녁 7시 44분 경북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접속이 폭주하면서 3시간 넘게 접속이 어려웠다.
안전처 홈페이지에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점검 작업으로 인하여 현재 웹서비스가 중단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는 공지만 나왔다.
이에 안전처는 "이용자 폭주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며 "대전통합전산센터에서 보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안전처는 저녁 7시 44분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하자 진앙에서 반경 120km 지역에 해당하는 부산, 대구, 울산, 충북, 전북, 경북, 경남 7개 지역 주민들에게만 긴급재난문자를 보냈다. 지진이 발생한 지 8분이 지난 7시 52분에 보내 늑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안전처는 지난 7월, 울산 인근 해역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도 17분이 지나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내 비판을 받았다.
안전처는 홈페이지 접속이 폭주하면서 일시적인 서버가 다운된 상황에서 SNS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한 네티즌은 "폭염 때는 그렇게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더니 왜 이번 지진에는 일부 지역에만 보내나? 시스템에 문제가 많은 것 같다”며 “국민안전처 공식 트위터에도 지진 소식이 올라온 것은 고작 2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재난 속보 실력 비교’라는 제목으로 일본과 비교한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에서 일본은 지진 발생 1분후 문자가 발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일 일본 NHK와 아사히 신문 등은 "한국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지진 소식을 주요하게 다뤘다. 일본 지진 속보 트위터에도 실시간으로 지진 소식이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먹통, 국민안전처보다 일본 지진 속보 트위터가 훨씬 빠르고 더 낫다”고 평가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12일 경주 지진사태와 관련해 "국민안전을 책임지는 안전주무부처인 국민안전처 홈페이지가 지진사태 직후 셧다운 당한 것으로 나타나 박근혜정부의 무책임한 안전불통 행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경주 지진사태의 경우 진도 5.8의 관측 사상 초유의 대지진으로 많은 국민의 불안감과 공포가 가중되고 있지만 국민안전처는 이런 대지진에 전혀 무방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안전불감증에 걸린 국민안전처의 존재이유에 대해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의원 김영주 의원도 자신의 트위터에 "정부는 대체 어디있습니까? 지진으로 온 국민이 불안에 떨고 있는 지금! 국민안전처 마비! 새벽에도 날아오던 국민안전처 재난문자는 어디? 국민은 누구를 믿어야 합니까?"라고 글을 남겼다.
국민안전처는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재난과 재해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출범한 기관이다.
[관련기사 보기]
▶
▶
▶
▶
▶
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